저는 자마린 프로젝트에서 발생했지만 기존 프로젝트에 닷넷 스탠다드(.NET Standard)로 프로젝트를 만들면 발생할 수 있는 오류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1. 오류 발생 자마린 프로젝트에서 PCL이 닷넷 스탠다드(.NET Standard)로 표준화되었습니다. 그래서 기존에 만들었던 PCL을 닷넷 스탠다드로 바꾸는 작업을 하고 있는데...... 'EmbeddedResource' 중복 항목이 포함되었..
트라이~캐치(try~catch)는 런타임에서 오류를 잡아내는 좋은 방법의 하나 입니다. 문제는 디버그할 때는 오류 위치가 잡히지 않기 때문에 오류 추적이 힘들다는 문제가 있죠. 1. 트라이 캐치도 조건문을 사용할 수 있다. 캐치(catch)에 조건을 줘서 원하는 조건에 중단 점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캐치문 뒤에 웬(when)문을 붙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 : Microsoft docs - t..
.net에서 오류를 캐치하기 위한 방법으로 'Debug.Assert'과 'throw Exception' 이렇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이 두가지의 차이와 활용방법을 알아봅시다. 1. Debug.Assert 'Debug.Assert'는 조건이 펄스(false)일 때 동작하는 메소드 입니다. 이 동작이 중요한데 'Debug.Assert'의 용도는 '확인'에 있으므로 거짓일 때 동작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
디버그(Debug) 클래스와 트레이스(Trace) 클래스는 비슷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클래스입니다. 이 클래스들의 차이를 알아봅시다. 1. 디버그 클래스 디버그 클래스는 조건부 컴파일 기호가 'DEBUG'일때만 동작하는 클래스입니다. 닷넷을 처음 배우면 'Debug.WriteLine("Hello World")'를 찍어보는 코드를 보는 경우가 많아서 익숙한 코드죠. 디버그 모드에서만 표시해야 하는 ..
경력이 쌓여도 가끔 초보적인 실수를 하게 되는데...... 이 오류가 대표적인 실수로 인한 오류입니다. 1. 오류 오류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일이나 어셈블리 '[네임스페이스]' 또는 여기에 종속되어 있는 파일이나 어셈블리 중 하나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지정된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이 오류가 나는 대부분의 경우는 네임스페이스와 클래스(혹은 인터페..
1. 증상 누겟에서 라이브러리를 받고 나서 빌드하니 이런 에러가 납니다. 어셈블리에서 "CodeTaskFactory" 작업 팩터리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codetaskfactory could not be found 하..... 2. 해결 방법 일반적으로 이 오류는 잘못된 참조 때문에 발생합니다. 보통은 뭐가 잘못됐는지 파일 이름..
.net에서 소켓 프로그래밍을 하려면 몇 가지 선택사항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SocketAsyncEventArgs'입니다. 전에 '[.Net] SocketAsyncEventArgs - 큰 데이터(Large Data) 전송할 때 생기는 문제'라는 글에서 버퍼크기보다 큰 데이터가 오는 경우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다루었습니다. (참고 - [.Net] SocketAsyncEventArgs - 큰 데이터(Large Data) 전송할때 생기는 문제 ) ..
사실 대부분의 'OAuth'인증은 웹을 통해서만 하므로 애플리케이션이던 웹이던 처리에는 크게 차이가 없다는 게.... (제가 모르는 건인지 자료를 못 찾은 건지 ㅡ.-;;) 어찌 됐건 C#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네이버에서 'OAuth'로그인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로그인이 잘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접근 토큰(Access Token, 액세스 토큰)을 발급받아 블로그의 카테고리를 조회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n..
1. 증상 'NAudio'를 빌드하고 프로젝트에 참조로 넣고 돌렸더니.... 빌드 중인 프로젝트의 프로세서 아키텍처 "MSIL"과(와) "[빌드정보]" 참조의 프로세서 아키텍처 "x86"이(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이 불일치로 인해 런타임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와 참조 간의 프로세서 아키텍처를 정렬하거나 프로젝트의 대상 프로세서 아키텍처와 일치하는 프로세서 아키텍처를 포함하는 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