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증상 'NAudio'를 빌드하고 프로젝트에 참조로 넣고 돌렸더니.... 빌드 중인 프로젝트의 프로세서 아키텍처 "MSIL"과(와) "[빌드정보]" 참조의 프로세서 아키텍처 "x86"이(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이 불일치로 인해 런타임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와 참조 간의 프로세서 아키텍처를 정렬하거나 프로젝트의 대상 프로세서 아키텍처와 일치하는 프로세서 아키텍처를 포함하는 참조에 대한 종속성을 사용하는 것처럼 구성 관리자를 통해 프로젝트의 대상 프로세서 아키텍처를 변경하십시오. 아.... 이건 참조한 'DLL'과 사용하려는 플랫폼간 '플랫폼 대상'이 달라서 발생합니다.(64비트 전용이라던가 하는 문제) 2. 해결 방법 소스가 있다면 해당 'DLL'의 프로젝트 속성 > 빌드 > 플랫폼 대..
1. 문제 발견 안드로이드에서 '.sleep'나 'wait'와 같은 스래드를 대기시키는 메소드를 사용하면 발생하는 에러입니다. Error:(116, 25) error: unreported exception InterruptedException; must be caught or declared to be thrown 2. 해결 방법 예외처리 해주라는 소리인 거 같네요. try { Thread.sleep(100L); } catch(InterruptedException ex) { //인터럽트 플래그 재설정 Thread.currentThread().interrupt(); } 이렇게 해도 되고 일반적인 예외처리 방식인 'Exception'을 사용해도 됩니다. try { Thread.sleep(100L); } ca..
1. 기본값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는 기본값이 '현재 창에 프로젝트 열기(Open project in the same window)'입니다. 새 프로젝트를 만들거나 열었을 때 다른 창에서 열리게 옵션을 설정해 봅시다. 2. 설정 File > Settings 으로 들어가서 Appearance & Behavior > System Settings > Project Opening 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옵션이 보입니다. Open project in new window : 프로젝트를 새 창에서 열기 Open project in the same window : 같은 창에서 프로젝트 열기 Confirm window to open project in : 프로젝트 열고 확인하기 여기서 'Open project in new..
3D에서 오브젝트를 움직일 때는 글로벌 축(Global Axis, 월드 축(Word Axis))이나 로컬 축(Local Axis)을 기준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1. 글로벌 축(Global Axis, 월드 축(Word Axis)) 글로벌 축은 항상 고정된 축입니다. 유니티의 스크린에서 오른쪽 위에 표시되는 방향이 글로벌 축과 같은 방향입니다. 글로벌 축을 기준으로 움직이면 오브젝트의 축과 관계없이 글로벌 축의 방향으로만 움직이게 됩니다. 글로벌 축으로 움직이는건 쉽습니다. 그냥 트랜스폼(transform)의 포지션(Position, 혹은 로케이션(Rotation))만 병경하면 됩니다. //z축으로 이동 transform.position = transform.position + new Vector3(0, 0..
언젠가부터 제가 쓰고 있는 G2의 와이파이가 안테나는 잘 뜨는데 데이터를 주고받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다른 G2로 테스트해보니 말짱하고 공유기가 3대나 있어서 교차테스트를 해봐도 제거만 그래서 망가졌나 보구나 하는 찰라 지인집에 제가 설치해둔 공유기에서는 잘되는 게 아니겠습니까? 헐헐 이게 뭔 현상이지 하고 있다가 해결방법을 찾았네요-_-;; '무선 보안'설정이 문제였습니다. 1. 문제가 일어난 상황 1) 시스템 업데이트 이후 멀쩡한 G2는 시스템 업데이트를 안 하고 있고 제 G2는 시스템 업데이트를 하고 있었습니다. 2) 공유기 교체 이후 쓰던 공유기가 오래돼서 이번에 교체하였습니다. (ipTIME A2004NS plus) 그리고 권장사항에 따라 무선 보안은 'WPA2PSK + AES'로 세팅..
1. 증상 가끔 실행하면 진행이 되지 않고 빌드나 디바이스에 파일 보내는 단계 같은 곳에서 무한으로 대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2. 조치 사항 1) 이럴 때는 비주얼 스튜디오(혹은 자마린 스튜디오(Xamarin Studio))를 재시작해봅시다. 2) 그래도 안 되면 관리자 권한으로 IDE를 열어보고 테스트해봅니다. 3) 그래도 안 되면 다른 디바이스를 사용해 봅니다. 에뮬레이터 사용 시에는 에뮬을 새로 생성하거나 다른 에뮬레이터를 사용해 봅니다. 보통은 위에 3가지 중 하나만 하면 해결됩니다. 마무리 안드로이드는 에뮬레이터가 많아서 다른 걸 선택하는것도 방법입니다 ㅎㅎㅎ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에뮬로 실행하면 가끔 이런 오류를 볼 수 있습니다. pkg: /data/local/tmp/패키지 내임 Failure : [INSTALL_FALED_UPDATE_INCOMPATIBLE] 이 에러가 나는 가장 흔한 이유는 이전에 테스트하던 프로그램이 지워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보통은 IDE에서 자동으로 프로그램을 지우거나 덮어 씌우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럴때 나는 에러입니다. 디바이스에서 직접 프로그램을 지운 후 다시 시도하면 해결 됩니다.
롤리팝에서 메뉴버튼이 사라져서 인터페이스에 메뉴버튼을 넣었습니다. 숨겨진 메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openOptionsMenu()'를 호출하면 됩니다. 그런데 안뜰 때가 있네? 1. 일반적인 방법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메인엑티비티를 'Blank Activity'로 생성합니다. 버튼을 하나 생성하고 다음 코드를 버튼에 연결합니다. 그러고 나서 실행해보면.... 반응이 없습니다! 보통은 잘되는데 안될 때가 있습니다. 2. 해결방법 이제 'onCreate()'안에 을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protected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타이틀바 숨기기 requestWindowFeature(Window.FEATURE_NO_TITLE); super.onCrea..
별생각 없이 만들다 보니 타이틀바가 있는 것도 몰랐네요 ㅎㅎㅎ 거기다 롤리팝에서 메뉴버튼이 삭제되면서 인터페이스가 타이틀바로 올라갔군요. 풀스크린은 상단의 상태줄과 소프트웨어 키가 숨겨집니다. 풀스크린 사용과 타이틀바를 없애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1. 테마 수정하기 코드로 직접 수정하려면 매니페스트에서 수정해야 합니다. 매니페스트를 열어서 타이트바를 없앨 액티비티에 다음 코드를 추가하여 테마를 변경합니다. android:theme="@android:style/Theme.NoTitleBar.Fullscreen" 이제 실행해 봅니다. 에러가 난다면 만약 여기서 에러가 난다면 보통은 상속받은 엑티비티가 잘못된 경우입니다. 그냥 액티비티를 생성하면 'ActionBarActivity'와 같은 기본 액티비티가 아닌..
안드로이드에서 커스텀 한 리스트를 표현하고 싶다면 리스트 뷰를 이용해야 합니다. 리스트뷰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추가 삭제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0. 테스트 환경 만들기 메인 액티비티의 레이아웃을 다음과 같이 만듭니다. 각 위젯은 내부에 아래와 같이 생성되어 있습니다. this.txtData1 = (EditText)findViewById(R.id.txtData1); this.txtData2 = (EditText)findViewById(R.id.txtData2); this.txtData3 = (EditText)findViewById(R.id.txtData3); this.btnDataAdd = (Button)findViewById(R.id.btnDataAdd); this.lvTest =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