흠.... 간만에 서버에 MSSQL설치해야 해서 IDC센터에서 다해준다길례 해달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1.문제 'sa'계정으로 연결하려고 하니 앵? 윈도우 인증은 되는데 'SQL Server'인증이 안되는 겁니다 ㅡ,.ㅡ;;;;; 비밀번호를 내가 직접 넣었는데? 2. 해결 방법 로그인 안되는 것에 이유가 많습니다. 보통은 TCP가 허용됬는지 확인하고 방화벽을 열면되죠. 우리가 흔이 아는 이 내용은 물론 다 적용이 되어 있습니다. 보통 '윈도우 인증'은 되는데 'SQL 서버 인증'이 안된다면 원인은 한가지죠. 로그인의 '혼합 인증 모드'가 꺼저 있다는 것입니다!!!! 아..... 저는 MSSQL을 설치할때 혼합모드로 설정하고 설치하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볼 수 없던 것입니다-_-;; 다른 사람이 ..
매번 검색하는게 귀찬아서 정리합니다. 1. HttpRequest.Url asp.net에서 대부분의 지금 접속한 Url에 관한 작업은 'Request.Url'에서 합니다. 'Request.Url'는 'HttpRequest.Url'로 되어 있고 'HttpRequest.Url'는 'System.Url'에 속해 있습니다. 2. 'HttpRequest.Url'로 얻을 수 있는 정보 이 정보는 MSDN의 내용을 정리 한 것입니다. (참고 : Uri 클래스) 테스트 url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localhost:16515/UrlData/frmUrlData.aspx 속성 결과 설명 AbsolutePath /UrlData/frmUrlData.aspx URI의 절대 경로를 가져옵니다. AbsoluteUri ht..
흠.... 제목이 좀 이상한데.... 엄밀히 말하자면 닷넷(.NET)을 이용하여 닷넷을 컴파일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종의 컴파일러를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행히도 닷넷에서는 컴파일을 위한 API를 제공하기 때문에 손쉽게 이런 컴파일러를 만들 수 있죠. 그럼 이런 컴파일러를 왜 만들어야 하는가? 라는 질문을 하게 되는데.... 이건 이 포스팅의 마지막에 다루겠습니다. 1. 'CodeDom'을 이용하기 MSDN에 설명이 잘 나와 있습니다만.... 이 기능은 소스 코드를 빌드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참고 : MSDN - CodeDOM 사용) 그러니 우리는 'CodeDom'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코드를 컴파일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2. 샘플 만들기 샘플을 간단하게 윈폼(WinForm)에서 만들겠습니다. 버..
프리젠테이션 관련 정보를 찾다가 우현히 찾은 TED의 강연입니다. 포토신스는 이미 마이크로 소프트에서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참고 : 포토신스 ) 포토신스 포토신스의 역활은 의도하여 찍은 사진이던 의도하지 않았던 사진이던 모아서 3D공간을 만들어 줍니다. 다음 셈플을 보시면 이해하시기 편하실 겁니다.(실버라이트를 설치해야 작동합니다.) 셈플만 보면 일반적인 로드뷰 처럼 보이지만 3공간을 구현할때 로드뷰를 의도하고 찍은 사진들이 아니여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직접 써보질 않아서 어느 정도 수준의 사진까지 가능한지는 모르겠습니다. 강연의 내용으로 보아 사진의 양만 충분하다면 웬만큼 막혀있어도 가능할듯하네요.) 빅데이터가 활용되는 과정 어찌됬건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의도하지 않은 사진들을..
일반적으로 'DLL'은 개발단계에서 참조를 통해 연결하여 사용합니다. 하지만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서 동적 로드를 해야 하는 경우가 있죠. 대표적인 경우가 국가나 언어, 운영체제 등에 따라 다른 dll을 써야 하는 경우라던가 동적으로 생성된 'DLL'을 참조해야 하는 경우라던가... 물론 설계 의도에 따라 많이 달라지니 꼭 필요하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 ㅎㅎㅎ 어찌 됐건 동적으로 DLL을 로드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1. 테스트 DLL 만들기 클래스 라이브러리로 프로젝트를 2개 생성합니다. 하나는 'TestDll1', 다른 하나는 'TestDll2'로 생성합니다. 각각의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namespace TestDll1 { public class Class1 { public string ..
시중에 팔고 있는 로드셀은 비쌉니다 ㅡ.-;;; 대량으로 사도 비싼데... avr관련 카페들을 검색해보니 몇십만개 단위로는 싸게 살수 없다는 군요 ㅡ,.ㅡ;; 그런 이유로 보통 디지털 체중계를 분해해서 사용합니다. 저도 분해해 보겠습니다. 연관글 영역 1. 분해하기 제가 이번 포스팅에서 분해할 체중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모델 : 카스 HE-18 1눈의 값 : 100g 사용 범위 : 4kg~150kg 시중에서 15000원 정도 하는 나름 고가(?)의 디지털 체중계입니다. 원래는 싸구려 중국제를 2개 분해했는데 둘 다 값이 이상하게 나와서 찾아보니 어떤 분께서 추천해주신 제품입니다. (다른 모델명(생긴 건 똑같은데-_-;)의 체중계는 괜찮은 것으로 보아 저 제품이 이상한듯하네요.) 디지털 체중계에서 최소 범..
아두이노는 자체적으로 멀티쓰래드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러다 보니 쓰래드 작업을 하고 싶으면 방법이 없죠.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아두이노에서 다른 언어의 쓰래드와 같은 동작을 하는 구현은 불가능합니다. 지금부터 소개할 라이브러리도 시분할로 쓰래드처럼 보이도록 해둔 것이지 쓰래드라고 볼 수 없죠. 1. 'ArduinoThread' 프로젝트 깃허브에 'ivanseidel'라는 분께서 만든 프로젝트입니다. (참고 : github - ivanseidel / ArduinoThread ) 소스코드를 보면 우리가 생각하는 쓰래드처럼 동작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구현된 방식이 아두이노의 'loop()'에서 쓰래드 컨트롤러를 지속해서 호출하면서 타이밍 맞을 때 쓰래드로 지정한 함수를 호출하는 방식입니다. 구조만 봐서는 ..
합성 컨트롤(Authoring a Composite Control)은 '유저 커스텀 컨트롤'과는 달리 DLL형태로 만들어wu 재사용이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전엔 '유저 제작 컨트롤'같은 이름이였던거 같은데 기능이 바뀐 건지 처음 듣는 이름이네요. 개념상으로는 기존의 컨트롤들을 재조합하여 만들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붙인 것 같습니다. 간만에 그림하나 없는 MSDN의 샘플이 아무런 작업 없이 잘 돌아간 것 같네요 ㅋㅋㅋㅋ 그래서 MSDN의 샘플을 그대로 따라가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 MSDN - 연습: Visual C#에서 합성 컨트롤 제작) 1. 프로젝트 생성 C# > Windows > Windows Forms 컨트롤 라이브러리 를 선택하고 이름을 'ctlClockLib'으로 한 다음 프로젝트를 ..
로드셀처럼 변화값이 작은 센서들은 컴퓨터로 읽기 위해서 전압을 증폭해야 합니다. (낮은 전압을 읽을 수 있는 보드라면 상관없지만 일반적인 범용보드들은 이정도로 낮은 값은 재대로 읽지 못합니다.) 아두이노에서 읽을 수 있는 전압값은 '참조 전압 /1024'이라고 입니다. 인터넷을 뒤져보면 1mV 정도까지는 읽는 듯 한데 직접 해보면 가변저항 이 값이 비교적 정확하게 들어오는 센서들이나 의미 있는 내용이고 값이 불안정하게 들어오는 센서들(로드 셀, 거리측정 센서) 같은 것들은 10mV정도부터 의미 있는 값으로 보는 게 맞는 듯 하네요. 어찌됐건 로드셀은 낮은 전압을 내보내기 때문에 증폭해야 아두이노에서 읽을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 사용된 증폭용 칩은 'AD620'입니다. (참고 : 디바이스 마트 - A..
'OpenCVSharp'의 설명페이지에는 별도의 작업 없이 'OpenCVSharp.dll'만 참조하면 mono에서도 'OpenCVSharp'를 사용 할수 있다고 나와 있습니다. (참고 : OpenCVSharp - Tutorial_UnixPlatforms) 'ml'와 'cvblob'는 컴파일을 다시 해서 사용하라고 나와있습니다. ('OpenCVSharp'의 소스를 받아보면 모노를 구분하여 작성된 코드들이 보입니다. 이것으로 보아 모노를 지원하는 것이 맞는것 같네요.) 그런데 테스트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돌려보니 안됩니다-_-; Mono로 작성해보니 윈도우 스타일로 하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드네요-_-; 1. 준비하기 일단 우분투에 'OpenCV'를 설치 해야 합니다. 'OpenCV'의 버전은 'OpenCV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