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전에 주변사람들과 이런 이야기를 했었습니다 "10년쯤 지나면 '전력선 통신'이 상용화 될테니 냉장고와 TV와 단말기가 홈네트워크 시장을 먹으려고 박터지게 싸우는게 정리 되겠지?" (참고 : 위키백과 - 전력선통신(PLC)) 이 냉장고는 와이파이가 된다! 지금이 2012년이니 딱 10년이 지났는데..... 전력선통신은 '아웃 오브 안중'이 되어 있고 홈네트워크를 누가가저갈지에 대해선 10년전보다 더 관심이 없어 진것 같습니다-_-; 하긴 10년전까지만 해도 10년있으면 'IPv6'가 정착되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아직도 이모양이니-_-; (참고 : 위키백과 - IPv6) 홈 네트워킹이 중요한 이유클라우드를 설명하는 글에서 잠깐 언급했지만 홈네트워킹이 정착이되고 인터페이스가 표준화가 되면 사용자는 스마트..
요즘 LTE가 나오고 하면서 다시 망중립성 문제가 올라왔습니다. 그런데 망중립성은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일까요? 아니면 사업자의 뻘짓을 막기 위함일까요? (그런데 결국 위 두가지 질문은 같은 의미기도 하죠 ㅋㅋㅋ) 망중립성과 사용자권리망중립성이라는것은 "망을 제공하는 사업자가 사용자든 사업자든 어떠한 컨탠츠든 상관없이 차별을 두면 안된다" 라는 개념입니다. (참고 : 위키백과 - 망중립성, 전자신문 - 망 중립성 놓고 통신 · 인터넷업계 격돌) 사용자는 망을 제공하는 사업자(이하 망제공자)에게서 망에대한 권리를 임대 하여 사용합니다. 그럼 이제 임대한 회선에 대한 사용자의 권리는 어디 까지 일까요? 왜 차별이 생길까?그렇다면 근본적으로 왜 망제공자는 차별을 주려고 하는 것일까요? 당연이 돈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