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폼에서 다국어 처리 시 컨트롤에 자동으로 다국어를 바인딩시킬 수 있습니다. 연관글 영역 1. 개념 이해하기 자동으로 바인딩 되는 방식은 폼(Form) 단위로 관리됩니다. 'Language' 속성을 변경하면 자동으로 해당 언어-국가 코드에 맞게 '.resx'파일이 생성됩니다. 리소스(Resource)에서 다국어 처리할 때와 마찬가지로 '.resx'파일에 다국어 정보가 들어가게 되고, 설정된 현지화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처리됩니다. 2. 폼(Form)에 현지화(Localizable) 처리 폼의 속성에 'Localizable'를 'True'로 바꿔줍니다. 이때 'Language'는 기본값인 '(Default)'여야 합니다. 여기서 '(Default)'는 중립언어(혹은 기본언어, 이하 기본언어)라고도 합니다...
.NET에서 리소스(Resource)파일을 이용한 다국어 처리는 오래된 방식입니다. 간단하게 구현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연관글 영역 1. 리소스(Resource) 파일 만들기 이 프로젝트에서는 'Resource' 폴더에 파일을 만듭니다. 프로젝트에 어느 위치에 있어도 참조하는 데 문제는 없습니다. 추가 > 새 항목 > 리소스 파일(Resources File) 을 추가합니다. 기본 언어는 언어-국가 코드가 없는 파일명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나머지 추가된 언어들은 언어-국가 코드를 넣어 만듭니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 LangStr.resx - LangStr.ko.resx 이렇게 생성했습니다. 2. 데이터 넣기 다국어로 사용할 언어 데이터를 넣어 줍니다. 'LangStr.resx'에는 기본언어인 영어를 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