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선 로드 셀은 그냥 배선하면 됩니다만.....
3선 로드 셀은 하프 브리지나 풀 브리지를 만들어야 합니다.
3선 로드 셀은 보통 체중계를 분해하면 많이 볼 수 있습니다. ㅎㅎㅎㅎㅎ
만약 체중계를 분해했는데 배선을 분리해야할 상황이면 이 포스팅을 보셔야 합니다.
[하드웨어] 체중계 분해하여 체중계 만들기 - 체중계 분해하여 로드셀(Loadcell) 사용하기
3선 로드 셀은 보통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구매처 : 길드몰 - 3선식 체중계 센서(Body Load Cell) 50kg
전선의 색은 뾰족한 부분을 위쪽으로 놓고 검정(Black), 빨강(Red), 흰색(White) 순서로 되어 있습니다.
가끔 다른 색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에도 뾰족한 부분을 위쪽으로 놓고 위 순서로 되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 센서를 사용하려면 2개, 4개를 한 세트로 사용해야 합니다.
2개일 때는 하프 브리지
4개일 때는 풀 브리지를 구성해서 사용합니다.
체중계는 3선 로드 셀 4개를 풀 브리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풀 브리지를 구성하기 편하려고 사용하는 기판
이걸 직접 구성하려면 아래와 같이 하면 됩니다.
복잡해 보이지만 잘 보면 규칙이 있습니다.
1번 >>검정>> 4번
1번 >>흰색>> 2번
2번 >>검정>> 3번
3번 >>흰색>> 4번
각각 색을 교차해서 배선하게 되어 있습니다.
가운데 선은 A+,A- 혹은 E+,E-로 사용됩니다.
만약 저 배선에 동작하지 않는다면 아래와 같이 A+, A-와 E+, E-를 반대로 꼽아 다시 확인해 봅니다.
1W - 2W
1R - E+
1B - 4B
2R - A-
2B - 3B
3W - 4W
3R - E-
4R - A+
위 배선이 동작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이 해봅니다.
1R - A+
2R - E-
3R - A-
4R - E+
배선이 힘든사람을 위해서 3D 프린터로 뽑아서 쓸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아래 이미지를 받아 프린트하여 붙여서 사용하면 됩니다.
사용은 각 구멍에 선을 넣으면 됩니다.
하프 브릿지는 두 개의 로드 셀이 각자 논다고 보시면 됩니다.
가운데 선은 A+,A-로 사용하고
남은 흰색과 검은색은 각각 연결하여 E+,E-로 사용합니다.
전에 썼던 증폭회로를 다시 만들기가 귀찮아서 HX711이 들어간 AD를 이용하여 테스트하였습니다.
참고 : [Arduino] 체중계 분해하여 체중계 만들기 - HX711과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받아보자
사실 몇 번 해보면 외울 정도로 쉬운 배선입니다.....
그런데 매번 만들 때마다 삑사리가 한 번씩 있다는 거 ㅎㅎㅎㅎ
[Arduino] 한 번에 2개 이상의 스테핑 모터를 제어하기 - StepperMulti5 (4) | 2019.11.22 |
---|---|
[Arduino] 체중계 분해하여 체중계 만들기 - HX711과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받아보자 (26) | 2019.11.05 |
[하드웨어] 체중계 분해하여 체중계 만들기 - 3선 로드 셀(Load cell) 배선을 하자 (13) | 2019.11.01 |
[하드웨어] 정류회로 만들기 (0) | 2019.10.09 |
[Arduino] 버튼 처리를 위한 라이브러리 - ButtonClickCheck (0) | 2019.07.28 |
와... 대단한 글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
잘쓰세요~
4개로 똑같이 결선했는데
계속 값이 0kg만나옵니다 ㅠㅠ
0이나 값이 변하지 않는 경우가 아주 높은 확률로 배선이 잘못된겁니다.
배선이 재대로 됐다면 최소한 값이 변합니다.
비밀댓글입니다
해외자료에서도 본적이 없긴한데 하려면 할수는 있겠죠?
단지 자료가 없으니 삽질은 본인몫이죠 ㅎㅎㅎ
안녕하세요, 포스트 잘 보았습니다. :)
체중계를 하나 분해해 봤는데, 동작을 안 해서 괜찮으시면 질문 좀 드려도 될까요?
체중 표시되는 부분하고 로드셀 4개를 체중계 몸통(?)에서 분리했습니다(배선은 따로 건드리지 않음). 그럼 이 상태에서 로드셀을 누르면 LCD 화면에 무게가 표시될 거라고 예상했는데, 감지를 못 하는지 아무 것도 안 뜨네요 ㅠ (건전지 갈았고, 새로 낄 때 0점 표시됩니다)
분리하다가 망가트린 것인지, 아니면 그라운드를 안 잡아서 그런지, 혹은 뭘 더 해 줘야 하는지 감이 안 잡히네요..
혹시 아이디어가 있으시면 알려주심 감사하겠습니다. _ _)
보니까 초기에 센 힘으로 누른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눌러야 값이 변하는군요 ㅎㅎ ㅜㅠ 로드셀 주변부를 고정하고 가운데를 눌러놓은 상태에서 사용을 하거나,
전압값을 읽어서 변환하는 방향으로 가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기존 체중계 기판을 그대로 사용한다면 룰도 기판따라가야죠 ㅎㅎㅎ
체중계에 최소 무게 써있을 겁니다.
이런 문제때문에 기판에서 때서 아두이노를 사용하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로드 셀 이용하는 것에 도움이 되었어요. 다름이 아니라, 제가 로드 셀을 이용하여 측정한 값이 계속 상승했다가 하락했다가 일정하지가 않아요. 그런데 물건을 올리면 값은 또 변합니다. 혹시 왜이런지 알 수 있을까요?
약간의 흔들림은 있는것이 맞습니다.
값을 보정하고도 큰폭으로 흔들림이 있으면 센서에 문제가 있을 확률이 큽니다.
참고 : https://blog.danggun.net/7562
혹시 로드셀 4개가 아니고 6개로도 가능한가요?
안됩니다.
4개, 2개해서 값을 avr에서 합산해서 평균낸다든지 하는 방법으로 사용해야 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