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Git)은 기본적으론 명령프 롬프트를 이용하여 명령어를 날려 사용합니다. GUI툴도 있긴 있습니다. 하지만 친MS인 저는 비주얼 스튜디오(Visual Studio)를 이용합니다! 비주얼 스튜디오로 깃을 사용하는 간단한 방법을 알아봅시다. 연관글 영역 * Visual Studio 2019 기준입니다. * 1. 주의 사항 깃은 기존의 소스관리 시스템과 구조가 좀 다릅니다. 보통 소스 관리 시스템이라고 하면 서버 클라이언트 구조로 그때그때 서버에 접속해서 소스를 동기화시키고 수정한 소스를 업로드 하는 방식으로 관리를 하게 되죠. 깃은 커밋을 하면 로컬저장소에 올라가고 이것을 서버에 푸시하여 동기화시키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렇게 되면 오프라인에서도 자유롭게 소스관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고 서버에 부하도 ..
깃허브(GitHub)나 깃랩(GitLab)에 연동하는 방법은 똑같습니다. 뭐.....다른 서비스나 직접 구축한 깃서버도 결국 같은 방법으로 연동하면 됩니다. 연관글 영역 * Visual Studio 2019 기준입니다. * 1. 저장소 생성 먼저 원하는 이름으로 저장소를 생성해야 합니다. 이 포스팅은 각 서비스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므로 대충 넘어갑니다. ㅎㅎㅎ 1-1. 깃허브 저장소 생성 깃허브 저장소를 생성합니다. 1-2. 깃랩 저장소 생성 깃랩에 저장소를 생성합니다. 2. 저장소 주소 복사 각 서비스에는 깃 저장소 클론(Clone)기능이 있습니다. 깃랩은 클론 버튼을 눌러 'Clone With HTTPS' 주소를 복사한다. 3. 프로젝트 생성 및 연결 이미 프로젝트가 생성되어 있으면 또 만들 필요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