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이 좀 이해하기 힘들겠지만.... 티스토리에서 제공되는 치환자는 특정 데이터를 바인딩하는 기능 외에도 티스토리 자체에서 제공하는 스크립트를 로드하는 역할도 합니다. 예를 들면 바디영역에 선언하게 되어 있는 ''의 경우 '댓글 펼침'기능이 들어있는 자바스크립트를 로드하게 됩니다. 만약 ''를 제거한다면 댓글 펼침 시 에러가 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스크립트에 'toggleLayerForEntry'함수가 들어있는 스크립트가 'common.js'인데 ''가 있고 없고에 따라 다른 스크립트를 불러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의 티스토리 코드를 사용할 때 이것을 주의해야 합니다. 에러 내용을 잘 확인해서 치환자를 사용해야 하죠. 티스토리의 자체 스크립트를 제거하고 자신이 새로 구축하려면 ..
베타테스트 시절에 발견된 버그를 이용하여 엔딩을 만들어 놨다고 합니다. 이게 그중 하나입니다. 점프가 없어서 창으로 못 들어갈 줄 알고 창을 안 만들어 둔듯하네요. ㅎㅎㅎ
제가 기초설명은 잘 안 하는데 R언어는 일반적인 언어와 다른 특성이 좀 있어서 간단하게 설명을 하겠습니다. 1. 데이터 R언어에서 모든 데이터를 배열에 넣습니다. R스튜디오(RStudio)를 열고 콘솔에 다음 코드를 넣어 봅시다. 1 2 3 4 5 6 > 1 + 1 [1] 2 > 100:130 [1]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9]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cs 첫 번째 코드는 '1 + 1'의 결과가 배열에 1번에 들어갔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 코드는 100~130까지 들어있는 배열을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 코드처럼 순차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