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트스트랩을 이용하여 반응형 레이아웃을 구성하려면 그리드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 : bootstrap - 그리드 시스템 ) 설명 부트스트랩의 그리드는 12칸이 기준이라 우리는 9칸/3칸으로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왼쪽(9칸)은 콘텐츠를 넣을 거고 오른쪽(3칸)은 카테고리와 같은 사이드 메뉴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html에 사이드바 요소를 추가하면 바로 반영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관리 > 사이드바'로 들어가서 왼쪽에 있는 모듈을 추가해 주시면 됩니다. 테스트 페이지 : http://danggun-test2.tistory.com/ 코드 전체 코드 입니다. 그리드를 설정한 코드를 살펴보겠습니다. 컨탠츠는 9칸에 넣었고 사이드바는 3칸에 넣었습니다. 이제 화면이 작아지면 사이드..
티스토리용 빈스킨입니다.내용 참고 : [빈스킨] 티스토리 빈스킨(깡통 스킨) HTML CSS 적용 상태 확인하기 1. 주요 기능티스토리용 빈스킨입니다.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스킨의 내용을 하나하나 구분하기 힘들어서 아에 갈아업고 하려고 만들었습니다 ㅎㅎㅎ티스토리의 가이드 페이지의 구조 그대로 만들었습니다.(참고 : 티스토리 치환자 )아무 내용도 들어가있지 않습니다.css도 모두 제거하고 테스트하였습니다.주석도 가이드페이지와 동일하게 넣어놔서 검색해서 사용하기 좋습니다.아마 이상태로는 티에디션과 '관리자>사이드 바'를 사용할수 없을 겁니다.(둘다 사용 가능 - 테스트 완료)전문가용으로 위설명을 이해할수 없다면 쓰지 마세요.보긴 간단해 보여도 이것은 직접 가공하여 사용하려면 손이 많이 갑니다.태두리 ..
전편과 별반 차이를 못느끼는 초반입니다. 시스템자체가 많이 변한건 없는데....퇴화한건 좀 보이는듯 하네요 ㅎㅎㅎ
원래 생각은 네비바에 카테고리를 바인딩 하고 싶었는데..... 이렇게 하려면 손이 많이 가는 데다 이 프로젝트의 목표가 최대한 부트스트랩과 티스토리의 기능을 그대로 쓰는 방향으로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네비바에는 태그 클라우드나 방명록 같은 기능들을 넣도록 하겠습니다. 설명 프로젝트 네임 -> 티스토리 제목 자주쓰는 기능 : 태그(태그 클라우드), 지역로그, 방명록 관리기능 : 글쓰기, 관리자 이렇게 연결합니다. 각각 연결할 치환자는 티스토리의 가이드를 참고 해주세요. (참고 : 티스토리 치환자) 코드 여전히 CSS는 없습니다. 이전 글과 비교하여 바뀐 부분을 확인하여 티스토리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확인해 보세요. 텍스트 파일은 전체 코드입니다. 네이바의 구조가 살짝 바뀠습니다. 1 2 3 4 5 6 7 8..
근데 저 나이에도 몸매가 엄청나네요. 다른 사이코페스들과 달리 구출이 가능합니다... 하는 행동만보면 사이코페스라고 단정하기도 뭐한 인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