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스플로러 계열에서는 정상적인 CSS가 먹히지 않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런게 한두개가 아니긴 하지만 이 경우는 어떤 경우인지 알아봅시다. 1. 문제의 발견 아래코드로 html파일을 만들어 돌려봅시다. aaaaaaaa 귀찬으신 분들을 위한 파일 : 해당 파일을 다시 크롬에다 돌려보면 차이가 확실이 납니다. 'aaaaaaaa' 가 크롬에서는 고정되는데 익스플로러에서는 고정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말이죠. 2. 해결방법 이렇게 되는 이유는 익스플로러의 경우 HTML코드가 정상적인 패턴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이전코드(익스플로러 7 이전버전들)로 작성된것으로 판단하여 호환모드가 강재로 적용되기 때문에 그렇다고 합니다. 이런 현상을 막기위해서는 문서형식을 지정하면됩니다. ( 참고 : 위키백과 - 문서 형식 선언 ) ..
* .Net 4.0 기준 * 닷넷에서 다국어구현은 편하게 되어 있습니다. 리소스파일만 연결해놓으면 필요할 때 언어를 지정하여 표시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연관글 영역 1. App_GlobalResources 폴더 만들기 닷넷에서 몇 가지 예약 이름 폴더가 있는지 그중 하나가 리소스 폴더 들입니다. 이런 폴더들은 그냥 폴더 추가만 해서 같은 이름으로 만들면 같은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그렇게 만들면 찜찜하죠잉? ㅎㅎ 해당 프로젝트에서 오른쪽 클릭 > 추가 > ASP>NET 폴더 추가 > App_GlobalResources 클릭 이렇게 하면 자동으로 App_GlobalResources 폴더가 생성됩니다. 2. 리소스 파일 추가 이제 멀티랭귀지용으로 사용할 리소스를 만들겠습니다. App_GlobalResour..
varchar와 nvarchar의 차이를 알아봅시다. 아래 코드는 테스트에 사용한 테이블을 생성하는 코드입니다. CREATE TABLE [dbo].[tb_Test_nvarchar]( [id] [int] IDENTITY(1,1) NOT NULL, [test1] [nvarchar](32) NULL ) ON [PRIMARY] GO CREATE TABLE [dbo].[tb_Test_varchar]( [id] [int] IDENTITY(1,1) NOT NULL, [test2] [varchar](32) NULL ) ON [PRIMARY] GO CREATE TABLE [dbo].[tb_Test_varchar64]( [id] [int] IDENTITY(1,1) NOT NULL, [test3] [varchar](64) ..
1. 문제의 발견 별생각 없이 사용하던 코드를 붙여놓고 돌리니.. Microsoft JScript 런타임 오류: '__doPostBack'이(가) 정의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생성된 코드를 보니까.. 해당 버튼이 생성이 안됐네? 그래서 버튼을 다시 생성했지만 그래도 같은 현상입니다-_-; 2. 원인 검색해보니 스텍오버플로우에 이런 글이 있군요. __doPostBack()를 사용하려면 포스트 백(post back)을 하는 컨트롤이 있어야 한다. 참고 : stackoverflow - __doPostBack is not defined - Don Tato 님 답변 그런데 버튼은 포스트 백을 일으키는 컨트롤인데 왜 안 되지-_-;;; 3. 해결 방법 같은 글에 친절하신 분들이 강제로 포스트 백을 삽입할 방법을 써..
이클립스에는 'Babel Project'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이클립스를 각나라 언어로 바꾸는 멀티랭귀지 프로젝트입니다. (이클립스 다운로드 페이지 - Babel Language Packs) 여기서 자신의 이클립스 버전에 맞는 주소를 복사 합니다. 이클립스로 가서 Help > Install New Software... 를 선택합니다. Work With에 아까 복사한 주소를 넣고 엔터를 치고 몇분정도 기다립니다. 몇분있으면 Babel리스트가 표시됩니다. 이중에서 Bable Language Packs for eclipse 를 찾습니다. 'Bable Language Packs for eclipse'의 왼쪽화살표를 클릭하여 확장 메뉴를 엽니다. 이중에서 Bable Language Packs for ..
간만에 안드로이드좀 만져보려고 세팅을 끝네고 켰는데.... 폰트가....-_-;; 그래서 바꿔봅시다. 영문 - 메뉴 > Window > Preferences 한글 - 메뉴 > 창 > 환경설정 영문 - Preferences > General > Appearance > Colors and Fonts 한글 - 환경설정 > 일반 > 모양 > 색상 및 글꼴 여기에서 Java Editor Text Font 자바 편집기 텍스트 글꼴 을 클릭하고 Edit를 누르면 폰트를 변경 할수 있습니다. 간만에 이클립스 만지니까....힘드네요 ㅋㅋㅋㅋ
예전에 안드로이드 이클립스 설정을 다해놓고 작업도 했었는데 오늘 일이 있어서 하려고 하니... The container 'Android Dependencies' references non existing library 아놔.... 이거 안드로이드 sdk가 잘못됬을때 나는 에러인데...... 건딘게 없는데 왜 이런 에러가-_-;; 다시 설정해도 에러가 사라지지 않아 안드로이드 SDK를 다시 설치하려는데.... Error: Failed to find Java version for 'C:\Windows\system32\java.exe': [2] 지정된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 자바sdk도 깔려있는데 -_-;;;; 다시 깔아도 같은 에러가나서 확인해보니.... '시스템 환경변수를 추가 해 주셔야 합니..
* .Net 4.0 기준 * 이미 DB에 저장되어있는 이미지 파일을 'ASP.NET'에서 뿌리기 위해서는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IIS에 임시 파일을 만들어서 이미지태그()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방법 2) 읽어 들인 바이너리 타입을 브라우저에 넘겨 브라우저가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방법 3) 'base64'데이터로 만들어서 이미지 태그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방법 이 있죠. 이 포스팅에서는 임시파일 생성 없이 DB에 있는 'Image'나 'varbinary()'타입을 'byte'타입으로 변환해 브라우저에서 바로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원리 임시파일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가 바이너리 정보를 브라우저한테 주고 시키는 겁니다! 브라우저는 바이너리 정보를 직접 읽는 게 가능하기 때문이죠!..
* .Net 4.0 기준 * 다른 DB도 가능합니다만 DB에 이진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흔gl 이진데이터는 'byte' 타입이고 DB에 저장할 때는 'binary' 타입으로 저장합니다. 웹에서는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DB에 파일을 저장하지 않습니다. 파일 크기보다 더 큰 용량을 사용하기 때문이죠. (최적화 문제도....) 대신 폴더권한 같은 것들을 지정하지 않아도 DB 권한만 가지고 파일을 업로드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고 외부에서 접근도 힘들어서 보안상으로도 좋습니다. 1. 파일 업로드 컨트롤 'ASP.NET'에서 업로드할 파일을 지정할 때 많이 사용하는 컨트롤이 'FileUpload'입니다. 이 컨트롤을 디자인에 추가해 봅시다. 파일을 지정하고 업로드 요청을 보낼 버튼도 만들어 줍니다. 2. DB..
테스트 해볼 것이 있어서 플래시를 만들고 별생각없이 일반적인 바인딩 방식인 블럭을 이용하여 바인딩을 하였습니다. 이렇게 놓고 돌려 보았습니다. 으잌!!!!!!!!!!!!!!!!!!!!!!!!!!!!! 그렇습니다. 파라메타로 보낼때 바인딩을 하려면 주의 사항이 있는데 '' 대신 ''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렇게 놓고 돌려 보았습니다. 잘나온다!! 생각해보니 이 현상이 실버라이트 붙일때도 있었습니다. (그때 정리를 해놨어야 하는데-_-;;;;) 정확한건 모르겠는데 태그안에서 바인딩을 할때는 '' 가 아닌 ''를 사용해야 합니다. (찾아봐도 딱히 이유가 나오질 않네요-_-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