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초에 걸친 패키지 시장의 몰락은 불법 복제 때문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다른원인도 있긴한데 주된 원인을 불법복제로 보고 있죠.) 그렇게 몰락하던 패키지 시장을 버티게 해준 것이 콘솔 시장과 스팀으로 대변되는 디지털 다운로드 판매(이하 디지털 판매) 시장입니다. 디지털 판매의 경우 스팀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니 스팀을 기준으로 이야기하게 될 것 같습니다. 스팀말고는 GOG라던가 오리진 같은 것들이 있죠. 콘솔이야 시장이 다르니 그렇다 치고 스팀의 경우 오프라인에서 정식발매하는 게임들도 스팀에 등록할 수 있다 보니 스팀세일과 함께 2대 천왕처럼 취급받습니다. 저렴한 게임 스팀의 장점이야 패키지 게임의 접근성과 중고판매를 막는 대신 자주 하는 할인, 큰 할인 폭, 스팀플랫폼의..
MSSQL에서 백업한 파일을 복구하려고 할 때 나는 에러 입니다. 1. 에러 발생 백업된 DB좀 확인해달라고 해서 .bak파일을 받아서 복원을 돌려보니... 미디어 세트에 2개의 미디어 패밀리가 있지만 1개만 제공하고 있습니다. 모든 멤버를 제공해야 합니다. 라는 오류가 떴습니다. 이 오류는 백업파일을 만들때 2개의 파일이 생성됬는데 1개만 지정했다고 나는 오류 입니다. 2. 필요한 백업파일 숫자 확인 해당 백업파일이 몇개있어야 하는지는 'Restore Labelonly'라는 쿼리로 알수 있습니다. --파일이 한개인 경우 Restore Labelonly From Disk='[파일위치]' 이렇게 하면 아래와 같이 파일갯수가 나옵니다. (FamilyCount가 갯수임) 이렇게 나오면 복원할때 파일이 2개가 ..
[Asp.Net] DataList - DataList란? [Asp.Net] DataList - DataList를 이용한 게시판의 리스트 구현 [Asp.Net] DataList - Edit Command(수정 명령)를 사용하여 리스트를 수정하기 [Asp.Net] DataList - DataList의 컬럼을 미리 만들어둔 템플릿으로 교체하기 [Asp.Net] DataList - 교체한 템플릿의 컨트롤에 코드로 접근하기 asp.net를 오래 하신분도 데이터리스트 컨트롤에 에디트커맨드를 모르시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ㅡ.-;;; 데이터리스트에 있는 커맨드 중에 에디트(Edit)와 업데이트(Update)를 이용하면 직관적으로 리스트를 컨트롤할수 있습니다. 1.DataList 만들기 HTML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
결국 인터넷 실명제가 위헌결정이 났습니다-_-; 이유도 시작할때 전문가들이 말하던거 그대로 나왔죠-_-; 한마디로 개뻘짓이였습니다. 그러면 온라인은 익명성이 보장될까요? IT계열에서 극단적인 이야기를 하면 한도 끝도 없으니 일반인을 기준으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안됩니다." 일반인들의 온라인 환경위에서도 말했지만 깊이 들어가면 한도끝도 없기때문에 일반인을 기준으로 하자면 온라인에 익명성 따위는 없습니다. 일반적인 환경에서의 익명성 이라는 것은 별다른 설정없이 혹은 쉽게 무언가를 설정해서 익명성을 보장받아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일반사람이 온라인상에서 익명성을 보장받는건 불가능에 가깝죠. 물론 쉬운방법이 있긴한데 친구네 집이나 CCTV같은 것이 없는 피씨방 가시면 됩니다 ㅡ.-;;; 물론 친구가..
서버에 설치된 MSSQL버전을 확인일 이 있어 도움말에 정보를 보니.... 오마이갓..... 도움말 > 정보 의 내용이 이렇게 부실한지 처음 알았네요-_-;; 이 서버에 설치된 MSSQL버전이 MSSQL 2008 Express 버전인데 해당 버전에 대한 아무런 정보도 없습니다 -_-;;;; 마이크로 소프트 고갯센터에 검색을 해보니 다행이 해당 내용이 있군요. (참고 : Microsoft 고객센터 - SQL Server 버전과 에디션을 확인하는 방법) 버전별로 확인 하는 쿼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모두 똑같다는거 ㅋㅋㅋㅋ SELECT SERVERPROPERTY('productversion'), SERVERPROPERTY ('productlevel'), SERVERPROPERTY ('edition') 참고 :..
익스플로러가 9로 넘어오면서 웹표준관련 기능들을 넣다가 생긴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몇몇사이트들이 깨지거나 정상작동을 하지 않습니다. 이럴때 쓰라고 있는 것이 호환성 도구죠. 그런데 친구가 쥐메일 열때마다 오류메시지가 뜬다고 확인해 달라며 스크린샷을 보내왔습니다. 앵? 메시지만 봐서는 쥐메일은 호환성보기에서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경고 인것 같습니다. 호환성보기만 끄면 될것 같아 주소줄을 보니.. 치....침착해 분명 도구에 호환성 보기가 있을 꺼야.. 네...호환성보기는 일반도구에는 없습니다 -_-;;; 호환성보기 도구를 꺼네기 위해서는 약간 번거로운 작업을 하셔야 합니다. 1.호환성 도구 찾기(1)먼저 익스플로러 오른쪽위에 있는 도구에서 오른쪽 클릭을 합니다. (2).명령모음을 클릭합니다. (3..
뷰스테이터스는 클라이언트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의 하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쿠키와 마찬가지로 보안의 위험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쿠키와는 달리 페이지가 종료되면 데이터가 사라집니다. 1. 고려 사항 뷰스테이터스를 사용하기위해서는 몇가지 알아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저장가능한 데이터 형태는 아래와 같습니다. - 문자열 - 정수 - 부울 값 - Array 개체 - ArrayList 개체 - 해시 테이블 base64 인코딩됩니다. 뷰스테이터스에 의해 페이지 로드가 느려질수 있으므로 테스트를 해봐야 합니다. (참고 : MSDN - 상태 관리, ViewStateMode 열거형 ) 용량문제가 발생할수 있는 소지가 있으므로 모바일기기에서는 재대로 동작하지 못할수 있습니다. 2. 데이터 넣기 데이터를 넣는 방법은 세..
게임을 이야기 할때 유저를 지칭하는 단어가 몇개 있습니다. 그중 일반인들도 많이 쓰게 된 단어도 있는데 뉴비/올드비가 대표적이죠. 여기서 추가로 소프트유저와 하드유저가 있습니다. 게임에서 유저들을 구분해야 게임의 수명이 오래갑니다. 유저를 어떻게 분류하는지 알아보고 유저를 분리하는것이 왜 게임의 수명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 봅시다. 유저 분류뉴비(Newbie) : 신규유저 혹은 초보자 올드비(Oldbie) : 기존유저 혹은 전문가(고참) 소프트유저(혹은 라이트유저) : 게임을 가볍게 즐기는 유저. 기획자나 시스템이 의도한 대로 플레이 하는 경우가 많고 그외 컨텐츠는 소비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드유저 : 해볼건 다해보는 유저. 기획자나 시스템의 의도에 있는 모든 컨탠츠 뿐만아니라 의도와 상관없는 컨탠..
같은 계정에서 여러 접속허용은 다른 글에서 설명하였으니 여기서는 전체 원격접속 인원을 늘려보겠습니다. (참고 - [Window Server 2008] 원격데스크톱 같은 세션(같은 계정) 여러 접속허용) 설정 위치 실행 > gpedit.msc >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터미널 서비스 > 터미널 서버 > 연결 혹은 실행 > gpedit.msc >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원격 데스크톱 세션 호스트 > 연결 > 연결 개수 제한 옵션 변경 '연결 개수 제한' 이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이 항목을 '사용'으로 변경하신 후 'TS 최대 허용 연결' 숫자를 원하는 숫자로 바꾸신 후 적용하시면 ..
저장 프로시저(stored procedure) 안에서 다른 저장 프로시저를 호출하려면 크게 보자면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Exec(EXECUTE)나 sp_executesql를 이용하면 됩니다. ( 참고 : MSDN - sp_executesql 사용) 여기서는 Exec(EXECUTE)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1. 리턴값이 없을 때 리턴값이 없으면 그냥 호출하면 됩니다. --Exec [저장프로시저 이름] --Exec [저장프로시저 이름] [매개변수1],[매개변수2],.... Exec TestSelect @temp 2. 리턴값이 있을 때 리턴값은 항상 int형이므로 인티저형의 변수를 하나 선언한 후 값을 대입하는 방식으로 받습니다. --Exec [값을 받을 변수] = [저장프로시저 이름] [매개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