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일베충드립을 할까 했는데.... 벌레에 대한 모욕일것 같아 패스 ㅎㅎㅎ 여기서는 물담배 피는 벌레가 나비가 되는군요 ㅡ.ㅡ
몇 년 전부터 써야지 써야지 하면서도 까먹고 사골국물처럼 묵혀 두었던 이야기입니다. (까먹고 있다가 얼마전에 다른 블로거분과 이야기하다 생각나서 간단하게 적어 둡니다.) 닷넷 프로그램은 다른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닷넷 프로그램은 닷넷 프레임워크(.Net framework)위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인데 MS가 다른 운영체제용 닷넷프레임워크를 만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꽤 오래전부터 다른 운영체제에서 사용할수 있는 닷넷 프레임워크를 만드는 프로젝트인 '모노 프로젝트'라는 것이 있습니다. 모노 프로젝트 모노 프로젝트는 윈도우가 아닌 운영체제에서 닷넷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젝트입니다. (참고 : 위키백과 - 모노 (소프트웨어),모노 프로젝트 홈페이지) 지원 범위 2013..
실수로 심부름을 수락해버려서 얻게된 코스튬입니다;;;; 당연한거지만....이거 입고 있으면 여학생들이 키스 안해줌 ㅜㅜ
이클립스에서 가장 부러웠던 기능이 바로 '플러그인 관리' 기능입니다.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플러그인은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취급되어 설치되고 관리됩니다. 그러다 보니 다운로드에서부터 설치까지 스탭도 많아지고 업데이트 관리도 엉망이죠-_-; 그나마 '.vsix'라는 것이 생기면서 플러그인이 지원하는 비주얼 스튜디오 버전이라도 나오니 망정이지 예전에는 받은 플러그인이 내가 쓰는 비주얼 스튜디오에 적용 가능하지도 따로 알아보고 설치해야 했습니다-_-;;; (참고 : [.Net] ".vsix" 파일 설치하기) 그런데 비주얼 스튜디오에서도 비슷한 기능을 하는 '누겟'이라는 플러그인이 있습니다 ㅎㅎㅎ 1.누겟(Nuget) 설치 누겟의 배포는 코드플랙스와 msdn 두곳에서 하고 있습니다. 1-1.코드 플랙스(Code P..
아두이노로 데이터를 보내면 'Serial.read()'로 데이터를 읽습니다. 그런데 문자열을 'Serial.read()'로 읽으면 한번에 한글자만 읽어집니다. 1. 문자열 보내기 테스트용 일단 LED 3개를 달아봅시다, 아웃풋 핀은 3,5,6를 사용합니다. (이왕이면 빨간색, 녹색, 파란색으로 세팅합시다.) 1-1. 보드 구성 그냥 LED 3개가 달려있습니다. 1-2. 펌웨어 작성 LED를 데이터를 통해 끄고 켜고를 할것이기 때문에 'switch'문을 사용해야 합니다. #define LED_R 6 #define LED_G 5 #define LED_B 3 String sCommand = ""; void setup() { Serial.begin(9600); pinMode(LED_R, OUTPUT); pinM..
아두이노는 형 변환이 좀 까다로운 것 같습니다 ㅡ,.ㅡ;; 보통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하는 메소드나 클래스를 제공하기 마련인데 그런 거 없음;;; 형 변환 관련된 레퍼런스를 다 확인한 건 아니지만 변수 간 형 변환을 바로 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는 몇 개 없는 것 같습니다. 1. 아두이노에서 String의 특징 어느 언어든 String은 'char[]'로 구현된다는 점입니다. 'char[]'를 직접 다루는것이 불편하니 'String'클래스를 만들어서 제공해주는 것이죠. 아두이노도 마찬가지 입니다. (참고 : Arduino Reference - StringObject ) 아두이노에서 char는 아스키코드가 들어 있어서 '+'연산을 하면 char이 합쳐지지 않고 덧샘이 됩니다 ㅎㅎㅎ 2. String to 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