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포스팅을 하기에 앞서서 'ASP.NET Core'에서 프론트 엔드 개발(Front-end)을 어떻게 하는지 설명하고 가고자 합니다. 연관글 영역 1. 기존 방식 기존에는 자바스크립트와 html로 날 코딩을 했습니다. 'ASP.NET Core'에서 디버깅하면 로컬 웹서버가 자동으로 동작하니 출력 폴더(기본값 'wwwroot')에서 직접 파일을 수정하고 새로고침하면서 작업을 했습니다. 2. 프론트 엔드도 빌드해야한다. 프론트엔드가 날로 복잡해지면서 빌드의 필요성이 생겼고, 거기에 부흥하여 각종 빌드환경이 생겨났습니다. 그래서 빠른 테스트를 위해서 프론트 엔드도 자신만의 로컬서버가 필요해졌습니다. 이러면서 생긴 문제는 프론트 엔드 빌드환경과 기존 개발환경을 어떻게 통합하느냐입니다. 3. 'ASP.NET ..
셰이 덕분에 뉴욕의 암살단이 괴멸되었다고 합니다. 이것 때문에 3편에서 뉴욕의 암살단을 복구하는 이야기가 시작되죠.
작업을 하다 보면 여러 가지 테스트 환경에 대응하려고 웹 루트 폴더를 여러 개 두거나 웹 루트 안에 여러 폴더로 분리하거나 하는 필요성이 있습니다. 1. 웹 루트(Web Root) 변경하기 'ASP.NET Core'에서 웹 루트 기본값은 'wwwroot'입니다. 이것을 바꾸려면 'Program.cs'에서 빌더를 다음과 같이 생성합니다. var builder = WebApplication.CreateBuilder( new WebApplicationOptions { WebRootPath = "wwwroot2" }); 여기서 조심해야 할 것이 'wwwroot' 폴더가 있으면 이 설정은 무시됩니다. 참고 : github - dotnet/aspnetcore Issues : WebApplicationOptions...
어둠의 앨런에 당한 피해자인가보네요. 불이 들어오면 뭔가 정보를 줄거 같긴한데요....
그레이 피닉스가 외계인들을 납치하고 있다고 합니다. 납치된 외계인들에 대한 단서를 찾기위해 창고를 털러 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