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터인가 비주얼 스튜디오용 확장 기능 파일을 받으면 '.vsix'파일로 제공되더군요. MSDN에는 '비주얼 스튜디오 확장 배포 파일'이라고 합니다. (참고 : MSDN - VSIX Deployment) 그냥 더블 클릭하면 일반적인 인스톨러와 별반 다를 것 없는 과정이 진행되고 비주얼 스튜디오를 켜면 해당 확장기능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연결 프로그램을 찾는 경우 그런데 간혹 비주얼 스튜디오가 잘못 설치된 건지 연결프로그램이 깨진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땐 연결 프로그램으로 'Microsoft Visual Studio Version Selector'를 사용하면 설치할 수 있습니다. 2. 여러 개의 비주얼 스튜디오가 설치된 경우 비주얼 스튜디오가 여러 개 설치되어 있다고요? 걱정하지 마..
C#의 시리얼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아두이노 보드의 LED를 켜고 꺼보겠습니다. 1. 펌웨어 작성하기 외부에서 신호를 받았는지 확인 하기 위해서는 'Serial.available()'를 사용해야 합니다. 마이컴보드에서 시리얼 포트에서 온신호를 버퍼에 저장해두는데 이 값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Serial.available()'를 호출 하는 것입니다. (참고 : Arduino Reference - available() ) 이것을 이용하면 신호가 왔는지 안왔는지를 확인할수 있죠. 이렇게 버퍼에 들어있는 값은 'Serial.read()'를 통해 읽을 수 있습니다. (참고 : Arduino Reference - read()) void setup() { pinMode(13, OUTPUT); Serial.beg..
하드웨어를 공부하면서 보니 대부분의 마이컴의 처음은 마이컴혼자서 LED를 깜박거리게 하는 것이더군요. 소프트웨어를 처음공부하면 제일 먼저 하는 것이 "Hello World"를 띄우는 것처럼 말이죠. 1. 아두이노 프로그램 설치하기아두이노 프로그램은 아두이노사이트에서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아두이노 1.0.4 프로그램 다운로드 - 윈도우 버전 (참고 : 아두이노 다운로드 페이지)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압축을 푼후 'arduino.exe'를 실행 시킵니다. 2. 스케치 만들기아두이노 보드에 펌웨어를 만들고 올리는 툴인 아두이노 프로그램에서 프로젝트단위(이걸 프로젝트로 봐도 될지 모르겠네요.)를 스케치라고 합니다. 펌웨어라는건 마이컴을 동작 시키기 위해 들어있는 프로그램이죠. 보통..
윈도우에서는 운영체제가 설치되면 장치 관리자를 통해 하드웨어를 관리합니다. 우분투는 어디서 하지?? 1. 추가 드라이버 우분투에서 하드웨어를 관리 할 때는 시스템 설정 > 추가 드라이버 를 이용하여 하드웨어를 확인합니다. 2. 하드웨어 정보 설치된 하드웨어의 정보를 보려면 "Sysinfo"나 "System Information" 같은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야 합니다. 이런 프로그램들은 시스템의 상세 정보를 보여주니 자신에게 맞는 것을 찾아서 설치하시면 되겠습니다. 2-1. Sysinfo 2-2. System Information 마무리 딴 윈도우와 대응되는 툴들은 아니지만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니.... 그러려니 합시다 ㅎㅎㅎ
하드웨어제어를 처음 했을때 소프트웨어개발과 다르다고 느끼는 첫지점이 핀모드를 지정하는 것입니다. 핀의 위치하드웨어제어용 보드를 보면 구멍이 많습니다.이 구멍들중 사용할 구멍들은 출력이나 입력으로 사용할지 지정해야 합니다. 아두이노 보드에 펌웨어를 입력할때 사용하는 아두이노(보드명칭이랑 툴명칭이랑 똑같습니다-_-;;)프로그램에서 핀을 지정할때 쓰는 함수가 'pinMode' 입니다.(참고 : arduino Reference - pinMode() ) 사용방법아두이노에서 스케치를 열고 핀모드를 지정해봅시다. pinMode(핀번호, 모드) 핀번호 : 모드를 지정할 핀의 번호를 지정합니다.모드 : 입력,출력 등의 모드를 지정하는 열거형 맴버입니다.- INPUT : 입력- OUTPUT : 아웃풋- INPUT_PULL..
메이크(make)를 날렸는데.... `arch/x86/syscalls/../include/generated/asm/unistd_32.h'에서 필요로 하는 타겟 `/usr/src/linux-headers-3.5.0-27-generic/arch/x86/syscalls/syscall_32.tbl'를 만들 규칙이 없습니다. 멈춤. `arch/x86/syscalls/../include/generated/asm/unistd_64.h'에서 필요로 하는 타겟 `/usr/src/linux-headers-3.5.0-27-generic/arch/x86/syscalls/syscall_64.tbl'를 만들 규칙이 없습니다. 멈춤. .... 아놔;;; 산넘어 산이네요;;; 1. 파일의 위치 해당 위치로 들어가면 정말 해당 파일이..
드라이버의 소스 파일을 받아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몰라서 여기저기 삽질하다가 메뉴얼에 나와있는 'make'가 만들라는 소리가 아니라 명령어라는 소리를 듣고 허탈함에 콘솔을 열어 메이크를 날려 주니.... error : implicit declaration of function 'usb_serial_deregister' 이런 오류가 납니다-_-;; 내용만 보면 해당 함수를 못찾거나 사용할 수 없어서 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검색을 해보니 권한이 없는 경우도 그렇다고 하더군요. 계정이 root계정이라 별신경을 안썼는데 root권한으로 커맨드 실행하는 sudo만 앞에 붙여주니 에러가 사라 지네요. sudo make 에러가 이제 끝난줄 알았지? 이제 시작이다. ㅜㅜ
자바로 테스트프로그램 만들어서 돌렸는데..... 자바의 창은 X버튼에 이벤트를 달지 않으면 아무동작을 하지 않는군요 ㅡ.-;;; (기본 이벤트를 만들어 주지 않는다늬!!!) 그래서 강제로 프로세스를 죽이려고 작업관리자를 찾는데....어디있는거지 ㅡ.-;;; 1. 비슷한거 찾기 일단 설치된 프로그램을 찾아보면 "시스템 감시"라는 것이 있습니다. 명령어는 gnome-system-monitor 입니다. 2. 단축키 지정 그런데 그냥 이렇게 쓰면 너무 불편해서 저는 단축키를 지정 해서 사용합니다. (참고 : [Ubuntu 12] 명령어 단축키로 지정하기) 윈도우에서 처럼 "Ctrl + Shift + Esc"로 말이죠 ㅎㅎㅎ 마무리 그래도 윈도우와 같은 감각으로 쓸 수는 없습니다. 비슷한 감각으로 쓰고 싶으면 우..
예전에 리눅스를 사용하다가 좌절한 이유중에 하나가 필요한 명령어를 기억하기가 너무 힘들다는 것입니다;;; 다행이 우분투에는 명령어를 단축키로 지정할 수 있네요. 시스템 설정 > 키보드 > 바로가기 > 사용자 설정 바로 가기 를 선택하고 하단에 +버튼을 누릅니다. "사용자 설정 바로 가기 키" 에서 이름과 동작시킬 명령어를 입력하고 적용을 누릅니다. 이름 오른쪽의 "사용 안 함"을 클릭하고 원하는 단축키를 누르면 단축키 설정이 됩니다. 이제 설정한 단축키를 누르면 원하는 명령어를 입력한 효과가 나옵니다.
* 우분투 12.04, 우분투 12.10 기준입니다.* 우분투를 처음 깔고 기쁨마음에 이것저것 눌러보다가 보니 한글키보드가 106키보드로 인식되서 몇개키가 인식이 안됩니다. 그중하나가 한/영 전환이죠. 그래서 디폴트 설정에 한/영 전환은 오른쪽 알트키로 되어 있습니다. 흔한 일이니 그냥 오른쪽 알트키를 누르는데 자꾸 명령실행창이 뜨는 겁니다. 처음엔 별생각없이 쓰다가 웹서핑중에 불편함이 너무 많아 검색해보니 알트키가 허드를 부르는 키라고 합니다...? 앵? 낼름 왼쪽 알트도 눌러보니 명령실행창이 뜨는 군요;;; 어찌됬건 이 단축키를 바꿀수 있습니다. 시스템 설정 > 키보드 > 바로가기 > 실행 아이콘 > 허드를 표시할 키 를 원하는 키로 바꾸면 한영전환할때 표시가 명령실행창(허드)가 표시되지 않습니다.